티스토리 뷰

당뇨병, 이제는 중장년의 병이 아닙니다
20~30대 젊은 당뇨병 환자, 10년 새 두 배로 늘었습니다.
“당뇨요? 그건 나이 들면 생기는 병 아니에요?”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저도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친구들 중에 벌써 건강검진에서 혈당 수치 경고 받았다는 사람이 많아졌어요.
심지어 아는 동생은 29살에 2형 당뇨 진단을 받고 식단을 완전히 바꿨다고 하더라고요.
이번에 발표된 대한당뇨병학회 공식 보고서를 보고,
그저 ‘남 얘기’라고만 치부할 수 없는 현실에 소름이 돋았습니다.
📊 2030 세대, 당뇨병 급증… 10년 새 두 배
학회지에 따르면,
2010년 국내 19~39세의 2형 당뇨병 유병률은 1.02%였는데
10년 만인 2020년엔 2.02%로 무려 두 배 상승했어요.
특히 30대의 경우 2010년 2.09% → 2020년 3.9%로 빠르게 증가했죠.
2020년 기준으로 보면 약 37만 명의 청년층이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것입니다.
가장 큰 문제는 당뇨병 자체가 아니라,
이와 함께 동반되는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지방간 같은 다양한 대사 질환입니다.
실제로 젊은 당뇨 환자 10명 중 7명은 비만(BMI 25 이상)이었고,
3명 중 1명은 고도비만(BMI 30 이상)에 해당했습니다.
그만큼 생활습관의 영향이 크다는 뜻이죠.
🧬 유전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습관’입니다
당뇨는 유전도 영향을 줍니다.
부모가 둘 다 당뇨면 자녀에게 당뇨가 생길 확률은 30%,
한 명만 있어도 15% 정도 된다고 해요.
하지만 그보다 더 무서운 건 우리의 생활환경입니다.
- 외식과 배달 음식에 의존하는 식사
- 하루 8시간 이상 앉아있는 직장 생활
- 운동 부족, 스트레스, 음주…
이 모든 것들이 합쳐져서
우리는 몸이 견딜 수 없는 속도로 망가지는 걸 모른 채 살아가고 있는 거예요.
🚨 심부전·망막병증·신장질환… 합병증도 이미 시작됐다
2020년 기준, 젊은 당뇨병 환자들에게 심부전이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외에도 만성 신장 질환, 심근경색, 뇌졸중, 망막병증이 함께 증가 중이죠.
문제는, 이들 대부분이 자각 증상이 거의 없다는 것.
그러다 어느 날 갑자기 시야가 흐려지고, 발이 저리거나, 피로가 극심해지며
건강이 한꺼번에 무너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합니다.
💪 나도 오늘부터 바꿔보기로 했다
사실 저도 운동 정말 싫어하는 편이에요.
하지만 요즘은 하루에 단 20분이라도 걷기,
당 지수 낮은 음식 위주 식단,
탄산 대신 물 마시기,
이런 사소한 루틴부터 하나씩 바꾸고 있습니다.
건강은 거창한 결심보다,
오늘 뭐 먹을지 고민할 때, 가볍게 걷기로 마음먹을 때
그 작은 선택에서부터 시작된다고 믿어요.
📝 정리하며
- 20~30대 젊은 당뇨병 환자 수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 대부분 비만과 잘못된 식습관, 운동 부족이 큰 원인입니다.
- 심부전, 망막병증 등 무서운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생활습관 개선으로 충분히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당뇨는 ‘노인의 병’이 아닌,
지금 나의 생활 속에 이미 스며들고 있는 병일 수 있습니다.
지금이 바로 시작할 타이밍이에요.